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6월 주택 시장 정리 요약(건설 실적, 미분양, 거래량)

by ActGrit 부동산 정보 2025. 8. 1.

국토교통부의 2025년 6월 주택 통계 발표에 따르면, 주택 시장의 주요 지표들이 긍정적인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특히 수도권과 서울 지역에서 두드러지는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사진출처: 국토교통부 주택통계('25년 6월)

1. 주택 건설 실적: 인허가, 착공 '폭증'

수도권 주택 인허가는 13,792호로, 전년 동월 대비 무려 53.3% 증가했습니다. 서울의 경우 73.8% 증가라는 기록적인 수치를 보입니다. 수도권 착공 실적은 152.1% 증가, 서울은 99.9% 증가하며 부동산 공급 확대 신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공급 증가에 따른 시장 반응이 주목됩니다. 아파트 착공만 따지면 수도권에서 178.7% 증가입니다.

  • 인허가 실적: 6월 수도권 주택 인허가는 13,792호로, 전년 동월(8,998호) 대비 53.3% 증가했습니다. 서울의 경우, 6월 누적 인허가 실적이 22,898호로 전년 동기(13,174호) 대비 73.8%나 증가하며 기록적인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 착공 실적: 6월 수도권 착공은 20,416호로 전년 동월(8,098호) 대비 152.1% 증가했습니다. 서울은 6월 착공이 2,079호로 전년 동월(1,040호) 대비 99.9% 증가하며 공급 확대의 신호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파트 착공만 놓고 보면, 6월 수도권 아파트 착공은 전년 동월 대비 178.7% 증가했습니다.

💡  아파트 착공만 따지면 수도권에서 178.7% 증가입니다

2. 미분양 감소: 시장 회복의 청신호?

전국 미분양 주택은 63,734호, 전월 대비 4.4% 감소했습니다. 특히 수도권 미분양은 13,939호로 8.9% 감소, 시장 흡수율이 상승 중입니다.

  • 2025년 6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63,734호로 전월(66,678호) 대비 4.4% 감소했습니다. 특히 수도권 미분양은 13,939호로 전월(15,306호) 대비 8.9% 감소하며 시장의 흡수율이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이는 시장의 불확실성이 줄어들고 투자자 및 실수요자들의 매수 심리가 회복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투자자 관점에서 ‘회복기’ 진입 가능성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사진출처: 국토교통부 주택통계('25년 6월)

3. 거래량 회복: 매수 심리 부활

6월 주택 매매거래량은 73,838건, 전월 대비 17.8% 증가, 전년동월 대비 32.4% 증가하며 시장 회복세가 뚜렷합니다. 특히 서울 아파트는 49.8% 증가하여, 실거주 및 투자 수요가 되살아나는 모습입니다.

  • 6월 주택 매매거래량은 73,838건으로 전월(62,703건) 대비 17.8% 증가, 전년 동월(55,760건) 대비 32.4% 증가하며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 특히 수도권 매매거래는 42,967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49.7% 증가했으며 , 서울 아파트 매매는 10,814건으로 전월(7,221건) 대비 49.8% 증가했습니다.

💡 수도권 아파트 매매는 전년 대비 54% 증가!

사진출처: 국토교통부 주택통계('25년 6월)

4. 마무리: 향후 시장 전망

2025년 6월 주택 통계는 인허가와 착공 증가, 미분양 감소, 거래량 회복 등 전반적인 시장의 회복 신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추세는 금리, 정부 정책 등 다양한 외부 요인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장 상황을 신중하게 분석하고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공식자료 출처 확인하기: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원문 및 최신 주택 통계 자료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바로가기